화성 융릉(장조·헌경황후)과 건릉(정조·효의황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기도 화성시 수정일 : 2025.08.14
좋아요1 공유1

사진

태그

기본정보

융릉은 사도세자(장조의 황제)와 그의 부인 혜경궁 홍씨(헌경의 황후)의 무덤이다. 정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장헌세자라 하였고, 1899년에 장조의 황제로 추존하였다. 이때 혜경궁 홍씨도 헌경의 황후로 추존하였다. 융릉은 한 봉분 안에 황제와 황후를 같이 모신 합장릉(合葬陵)의 형식이다. 1762년(영조 38) 장조(사도세자)가 아버지 영조의 명으로 뒤주에 갇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동대문구 배봉산에 묘를 조성하였고, 이후 무덤을 수은묘(垂恩墓)라 불렀다. 1776년 정조는 왕위에 오른 후 아버지에게 장헌세자(莊獻世子)라는 존호(尊號)를 올렸고, 묘를 원으로 높여 이름을 영우원(永祐園)이라 하였다. 이는 장헌세자가 왕세자의 신분도 있었지만, 왕의 생부이기 때문에 무덤의 이름을 원으로 정한 것이다. 이후 정조는 배봉산에 있던 영우원을 1789년(정조 13) 수원 화산인 현재의 자리로 옮기면서 원의 이름을 현륭원(顯隆園)으로 바꾸었다. 1815년(순조 15) 헌경황후(혜경궁)가 세상을 떠나자 다음 해 현륭원에 합장되었고, 대한제국 선포 후 1899년(광무 3) 장헌세자가 장종으로 추존되자 원을 능으로 높여 융릉이라 하였다.

건릉은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황후 김씨의 능이다. 정조는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많은 인재를 등용하고, 조선 후기의 황금문화를 이룩하였다. 건릉은 한 봉분 안에 황제와 황후를 같이 모신 합장릉(合葬陵)의 형식이다. 건릉은 1800년(정조 24)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장조의 융릉(당시 사도세자의 현륭원) 동쪽 언덕에 조성하였다. 그러나 풍수상 불길하다는 논의가 있어 1821년(순조 21) 효의황후가 세상을 떠난 후 건릉을 옮기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능 자리는 융릉 서쪽 언덕인 현재의 자리로 정하고 정조를 먼저 모신 다음에 효의황후를 합장하였다.

  • 주소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481번길 21 (안녕동)
  • 문의 031-222-0142
  •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 휴무일 매주 월요일
    ※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방하며, 그 다음 첫 번째 평일에 휴관
  • 이용시간 [2월~5월] 09:00~18:00 (입장마감 17:00)
    [6월~8월] 09:00~18:30 (입장마감 17:30)
    [9월~10월] 09:00~18:00 (입장마감 17:00)
    [11월~1월] 09:00~17:30 (입장마감 16:30)

무장애 편의정보

지체장애

  • 주차여부 장애인 주차장 있음_무장애 편의시설
  • 주 출입 접근로 출입구까지 턱이 없어 휠체어 접근 가능함
  • 휠체어대여 대여가능
  • 출입통로 주출입구는 턱이 없어 휠체어 접근 가능함
  • 화장실 장애인 화장실 있음

시각장애

  • 음성안내 음성안내버튼(점자안내판)
  • 점자표지판 점자안내판 있음

영유아가족

  • 유모차 대여 대여가능
  • 수유실 수유실 있음

고령자

  • 휠체어 대여 대여가능

여행코스 지도

편의시설

*분류를 선택하여 편의시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를 선택하여 편의시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매표소
  • 휠체어 대여
  • 유아차 대여
  • 유아용 시설
  • 화장실
  • 경사로
  • 주차장

주의안내

이동 동선에 따른 주의 안내(노면 상태 및 주의정보)를 제공합니다.

무장애 이동 동선에 따른 주의 안내 아이콘/아이콘 선택 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장애코멘트

  • 매표소는 30cm 가량의 단차 위에 자리해 휠체어 접근이 불편함
  • 융릉,건릉 역사문화관은 입구와 전시실에 단차가 없어 휠체어 이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음.
  • 들꽃광장 주변으로는 일부 구간에 야자매트가 놓여 있음
  • 들꽃광장에서 남쪽(곤신지 서쪽)으로 난 길은 솔숲이 아름다운 구간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노면이 고른 편이라 휠체어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음.
  • 융릉 금천교는 단차가 있어 건널 수 없으모로, 다리 우측으로 난 길을 이용해 융릉으로 진입.
  • 시각장애인 보조견 동반이 가능함. 별도의 안내요원은 존재하지 않으나 문화관광해설사가 안내 가능.

*위 지도는 관광지 현장과 내부동선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도

화성 융릉(장조·헌경황후)과 건릉(정조·효의황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길안내

관광지 주변의 대중교통 선택

지하철

버스

여행경험 나누기

0/500

인근 무장애 ‘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