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운현궁

서울 종로구 수정일 : 2025.08.14
좋아요0 공유0

사진

태그

기본정보

운현궁은 경복궁과 같은 궁궐이 아니라 왕족의 친족들이 거주하던 궁으로 종로구 운니동에 위치한 사적이다. 흥선대원군의 일가가 거주하고 생활한 사저였으며, 조선 26대 임금인 고종이 임금이 되기 전까지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운현궁은 조선조 말기의 역사적 사건들 대부분이 시작된 곳이며 수많은 개혁정책과 쇄국정책이 시행된 곳이었기에 역사적 상징성이 남다르다.
운현궁의 대표적인 건물은 고종 원년(1864) 9월에 준공한 노안당과 노락당, 그리고 6년 후에 증축한 이로당이 있고, 지금은 한 개뿐이지만 그 당시 4개였던 대문이 있다. 노락당은 운현궁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건물로서 가족들의 회갑이나 잔치 등 큰 행사때 주로 이용되었다. 노안당은 대원군이 사랑채로 사용하던 건물이다. 그가 임오군란 당시 청에 납치되었다가 환국한 이후 유폐되다시피 은둔생활을 한 곳이 이 건물이고, 말년에 임종한 곳도 노안당의 큰 방 뒤쪽에 있던 속방이었다. 노안당은 전형적인 한식 기와집으로 추녀 끝이 섬세하고 아름다운 것이 특징이다. 이로당은 노락당 옆에 있는 안채로서 구조가 口자형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 가운데에 정원이 있는 철저한 금남의 구역이었다.
노락당 못지 않게 운현궁의 절대적권위를 상징하는 것이 바로 4대문이었다. 한창 전성기였을 때는 정문, 후문, 경근문, 공근문 등이 있었으며, 경근문은 고종이 운현궁을 출입할 때 전용하던 문으로 창덕궁과 운현궁 사이에 있었다. 공근문은 대원군이 궁궐을 출입할 때 전용한 문인데, 경근문과 함께 없어지고 지금은 일본문화원 옆 터에 경근문의 기초만 남아있다.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4
  • 문의 02-766-9090
  • 홈페이지 http://www.unhyeongung.or.kr
  • 휴무일 매주 월요일(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정상 개장)
  • 이용시간 [4월~10월] 09:00~19:00(입장마감 18:30)
    [11월~3월] 09:00~18:00(입장마감 17:30)
    4월~11월 매주 금요일 야간개장 운영 09:00~21:00

무장애 편의정보

지체장애

  • 주 출입 접근로 주 출입구까지 평탄한 길
  • 화장실 장애인용화장실이 남녀 공용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내부가 좁아 불편함

영유아가족

  • 영유아가족 기타상세 벤치 와 음료판매기가 있으며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어 휠체어나 유모차도 접근이 가능함_무장애 편의정보

지도

서울 운현궁 길안내

여행경험 나누기

0/500

인근 무장애 ‘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