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맑은 강과 역사가 함께 흐르는 산골, 강원 영월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수정일 : 2025.10.16
좋아요1 공유1 조회수242

여행코스

[전체 이동 경로]


영월장릉(*2023년 열린관광지) – 15km, 차량 20분 – 한반도지형전망대 – 1.5km, 차량 5분 – 한반도뗏목마을

코스상세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영월 장릉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영월 장릉

강원도 영월은 역사와 자연이 동시에 살아 있는 곳이다. 조선의 슬픈 이야기가 담긴 장릉에서 마음이 차분해지고, 한반도지형전망대에 오르면 “와, 진짜 우리나라 지도와 똑 같네?” 하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이어 뗏목에 몸을 싣고 동강을 따라 내려가다 보면, 짜릿한 물살과 함께 웃음이 절로 쏟아진다. 단종의 이야기와 동강의 풍경, 그리고 짜릿한 모험까지 챙길 수 있는 영월은 지친 일상에 꼭 필요한 힐링 스팟이다.

조선 제6대 왕 단종의 무덤인 영월 장릉 조선 제6대 왕 단종의 무덤인 영월 장릉

조선 제6대 왕 단종은 어린 나이에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돼 정순왕후와 생이별을 하며 영월로 유배를 떠나야 했다. 그러던 중 단종은 1457년 의문의 죽음을 맞았고, 후환이 두려운 나머지 누구도 단종의 시신을 거두지 못하는 상황에서 영월의 호장(戶長) 엄흥도가 목숨을 걸고 단종의 시신을 수습해 장사를 지냈다. 엄흥도에 의해 가매장된 이후 59년이 지난 중종임금 때(1516년) 단종의 무덤은 봉분을 갖추게 됐고, 241년이 지난 숙종임금 때(1698년) 비로소 왕으로 복위돼 단종이라는 묘호(廟號)를 갖게 됐다. 그리고 영월에 있는 단종의 무덤도 ‘영월장릉’이라는 이름의 왕릉으로 격상됐다.

단종에게 제사를 지낸 정자각 단종에게 제사를 지낸 정자각

보통 왕릉은 후대의 왕이 능행을 갔다가 나라에 변고가 생기면 곧장 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성에서 80리 이내에 자리하는 것이 원칙이나, 유배지에서 죽고 엄흥도에 의해 급히 매장지가 정해진 사정으로 단종의 무덤인 영월장릉은 왕릉 중 유일하게 서울과 경기를 벗어나 있다.

영월장릉은 독특한 배치를 가졌다. 영월장릉은 독특한 배치를 가졌다. 언덕 위 능침 구역은 아래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언덕 위 능침 구역은 아래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조선왕릉은 철저한 계획하에 능을 조성하기에 어느 왕릉에 가더라도 비슷한 격식과 배치를 볼 수 있는 반면, 영월장릉의 격식과 배치는 다른 조선왕릉과 다르다. 제사를 지내기 위해 왕릉 앞에 배치되는 건물인 정자각은 보통 ‘丁’자 모양으로 자리를 잡는데 영월장릉의 정자각은 곧게 진입하다가 오른쪽으로 틀어진 자리에 배치한다. 그리고 능은 정자각 앞 높은 산 위에 자리를 잡았다. 또한 왕릉에는 보통 능을 수호하는 석물로 문인석과 무인석을 함께 세우는데, 영월장릉에는 문인석만 있고 무인석이 없다.

영월장릉 출입구에 있는 점자 종합안내판 영월장릉 출입구에 있는 점자 종합안내판 능침 구역으로 오르는 계단 입구에 있는 촉각 모형 능침 구역으로 오르는 계단 입구에 있는 촉각 모형
산 위 능침 구역을 제외한 전 구역에 설치된 무장애 보행로 산 위 능침 구역을 제외한 전 구역에 설치된 무장애 보행로 산책하기 좋은 숲 속 무장애 보행로 산책하기 좋은 숲 속 무장애 보행로
단종역사관 건물 앞 시각장애인 안내촉지판 단종역사관 건물 앞 시각장애인 안내촉지판

영월장릉은 2023년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열린관광지다. 따라서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를 동반한 가족 등 모든 이들이 편리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췄다. 단종의 행적과 오늘날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의 개요를 짚어볼 수 있는 단종역사관을 시작으로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신하의 위패를 모셔놓은 장판옥, 계유정난과 사육신 사건으로 희생된 이들을 기리는 배식단, 단종에게 제사를 지내는 정자각 등 다양한 공간이 있는데 이 모든 곳에 휠체어와 유아차로 탐방할 수 있는 무장애 보행로를 조성했다. 능침 구역으로 오르는 계단 입구에 시각장애인이 영월장릉의 전체 지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촉각 모형을 설치했다.

영월장릉 입구 장애인 주차구역 영월장릉 입구 장애인 주차구역
영월장릉 입구 화장실 영월장릉 입구 화장실 영월장릉 장애인 화장실 내부 영월장릉 장애인 화장실 내부

열린관광지답게 출입구 바로 앞에 장애인 주차장이 있고, 출입구 안쪽에는 경사로와 편의시설을 갖춘 장애인 화장실이 위치하고 있다. 다만, 아쉽게도 산 위 높게 배치된 능침 구역으로 오르는 두 갈래 길은 모두 산길과 계단이기에 휠체어로 오를 수는 없다.

어라? 정말 한반도 모양 그대로네! – 한반도지형전망대
영월 대표 관광명소 ‘한반도지형전망대’ 영월 대표 관광명소 ‘한반도지형전망대’

영월 읍내에서 서북쪽으로 20km 정도 달리면 아주 독특한 풍경을 보여주는 전망대가 나온다. 이곳 탐방지로 인해 원래 지명이 영월군 서면이었던 곳이 2009년 영월군 한반도면으로 바뀌었으니, 그 유명세를 짐작할 만하다. 탐방 전 이곳을 사진으로 본 이들은 “정말 이 정도로 한반도 모양과 비슷한 전망을 볼 수 있다고?” 하며 실제 그 장면을 보고 싶어 한다. 그리고 사진을 미리 보지 않고 찾아온 이들은 적당히 오른 뒤 갑자기 눈 앞에 펼쳐지는 한반도지형을 보고 탄성을 지르기 일쑤다. 정말이지 한반도지형을 그대로 축소해 놓은 듯한 놀라운 경치다.

전망대로 오르는 길은 나무데크길과 산길이 있다. 전망대로 오르는 길은 나무데크길과 산길이 있다. 계단과 산길로 휠체어는 진입이 힘들다. 계단과 산길로 휠체어는 진입이 힘들다. 정상에서 숨을 고르며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정상에서 숨을 고르며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한반도지형은 영월 북쪽 평창에서 발원한 평창강이 오랜 세월 산골 따라 굽이굽이 휘어 내려오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이다. 이 강은 곧이어 영월의 주천강과 만나 서강을 이루고, 서강은 영월 읍내 인근에서 동강과 만나 비로소 한강의 본류인 남한강이 된다. 이후 남한강은 충청북도 단양과 충주를 거치고, 경기도 여주를 지나 양평에 이르러 북한강과 만나며 비로소 한강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그리고 서울을 동쪽에서 서쪽로 가로질러 서해로 흐른다.

나무데크길에서 바라본 한반도지형 나무데크길에서 바라본 한반도지형

전망대 아래로 보이는 한반도 축소판 지형을 보며, 한강의 상류인 평창강에서 한강까지의 강의 흐름을 상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한반도지형전망대 장애인 주차구역 한반도지형전망대 장애인 주차구역
단차 없는 한반도지형전망대 화장실 단차 없는 한반도지형전망대 화장실 한반도지형전망대 장애인 화장실 내부 한반도지형전망대 장애인 화장실 내부

한반도지형전망대는 주차장에서 나무 계단과 산길을 거쳐 800m 정도 올라야 한다. 그리 험하고 힘든 길은 아니지만 20분 정도 걸린다. 한반도지형전망대는 계단과 나무데크가 설치된 무난한 길, 그리고 체력과 시간을 조금 더 소비해야 하는 산길 총 두 가지 길이 있다. 두 가지 길 모두 아쉽게도 휠체어로 오를 수 있는 편의시설은 아직 마련돼 있지 않다. 주차장에는 장애인 주차장이 있고, 주차장의 화장실에는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춘 화장실이 있다. 등산로와 전망대에 화장실이 없으니 주차장의 화장실을 이용해야 한다.

구수한 해설과 함께하는 유유자적 뱃놀이 - 한반도뗏목마을
정감 있는 해설과 함께 즐기는 뗏목체험 정감 있는 해설과 함께 즐기는 뗏목체험

한반도지형전망대에서 경치를 감상하다 보면 한반도지형의 ‘동해’ 부근에서 출발해 ‘남해’와 ‘서해’를 타고 무언가 두둥실 떠다니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사람들을 태우고 운행하는 뗏목이다. 한반도지형을 이루는 마을은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 이른바 ‘선암마을’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한반도지형을 에워싸며 흐르는 평창강을 이용해 마을 주민들이 뗏목체험 을 운영 중이다. 한반도뗏목마을 뗏목체험은 현재 영월 관광을 대표하는 인기 프로그램으로 거듭났다.

뗏목을 타고 맑은 강에 발을 담글 수 있다. 뗏목을 타고 맑은 강에 발을 담글 수 있다. 뗏목에서의 노 젓기 체험 뗏목에서의 노 젓기 체험
마을 어르신의 구수한 이야기와 함께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마을 어르신의 구수한 이야기와 함께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마을 어르신의 구수한 이야기와 함께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마을 어르신의 구수한 이야기와 함께 체험을 즐길 수 있다.

한반도뗏목마을 뗏목체험은 동해의 남북한 경계 지점쯤에서 출발해 남해를 거쳐 서해까지 진입했다가 되돌아오는 코스로, 탑승 시간은 30분 정도 된다. 뗏목의 가장자리에 앉은 승객은 뗏목을 타며 발을 강에 담글 수 있다. 갔던 길을 되돌아올 때는 물의 흐름을 거스르기에 마치 발 마사지를 받는 기분이다. 뗏목을 운영하는 마을 어르신이 선장이 돼 한반도마을 지형에 관한 이야기, 수달동굴에 관한 이야기, 뗏목에 관한 이야기를 구수한 강원도 억양으로 풀어낸다. 승객 중 희망자는 노 젓기 체험까지 할 수 있어 더욱 흥미로운 시간이다.

즐거움 가득한 뗏목체험 즐거움 가득한 뗏목체험

여느 화려하고 시설 좋은 관광지와 뗏목체험을 비교해 시시하다는 사람도 있겠으나 영월을 찾는 많은 여행자가 한반도뗏목마을의 뗏목체험에 높은 점수를 준다. 느리게 흘러가는 물의 속도만큼이나 천천히 움직이는 뗏목에 앉아 주변 경치를 즐기며 맑은 강에 발을 담그고 선장 어르신이 두런두런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는 시간이 매우 특별하기 때문이다. 보통 다른 유람선은 시간이 흐르면 지루해지기가 십상이나 한반도뗏목마을의 뗏목체험은 시종일관 유쾌하고 평온하다.

뗏목을 타러 가는 길은 자갈밭이다. 뗏목을 타러 가는 길은 자갈밭이다.
한반도뗏목마을 인근 화장실 한반도뗏목마을 인근 화장실 장애인 화장실 내부 장애인 화장실 내부

다만, 뗏목을 타러 강가로 가는 길이 자갈밭인 데다 통나무를 엮어 만든 뗏목이기에 휠체어로는 탑승하기가 힘들다. 주차장 인근에는 장애인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당일 여행 코스]

영월장릉→한반도지형전망대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영월장릉→한반도지형전망대

둘째 날 : 한반도뗏목마을


[관광지 무장애 정보]

- 영월 장릉

▪ 주소 : 강원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190

▪ 문의 : 033)374-4215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 이용시간 : 09:00~18:00(17:30 입장 마감)

▪ 이용요금 : 어른 2,000원, 청소년 및 군인 1,500원, 어린이 1,000원, 장애인 및 65세 이상 무료

▪ 무장애 편의정보

- 대부분 평지(산 위 능침 구역은 계단으로 휠제어 진입 어려움), 경사로 설치, 엘리베이터 (단종역사관 내), 무장애 산책로

- 영월장릉 주차장 (장애인 주차구역 2면)

- 관광안내소 인근 장애인 화장실

- 수유실 (단종역사관 내), 기저귀 교환대 (장애인 화장실 내)

- 휠체어 및 유아차 대여 (관광안내소)

- 촉지·음성종합관광안내판, 시각장애인 안내촉지판(단종역사관), 영월장릉촉각모형 등


 

- 한반도지형전망대

▪ 주소 :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한반도로 555

▪ 문의 : 고생대국가지질공원 033)560-2379, 한반도면사무소 033)372-6001

▪ 홈페이지 : http://www.paleozoicgp.com/

▪ 휴무일 : 연중무휴

▪ 이용시간 : 24시간

▪ 이용요금 : 없음(*주차 요금 소형 2,000원)

▪ 무장애 편의정보

- 전망대까지 등산로로 휠체어 및 유아차 진입 어려움

- 한반도지형 주차장 (장애인 주차구역 4면)

- 주차장 인근 장애인 화장실


 

- 한반도뗏목마을

▪ 주소 :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선암길 70

▪ 문의 : 010-9399-5060

▪ 홈페이지: https://xn--f51bj9ejtag50b.com/

▪ 휴무일: 12월~2월 운행 종료

▪ 이용시간: 09:00~17:30

▪ 이용요금: 전통뗏목체험 어른 8,000원, 어린이 6,000원

▪ 무장애 편의정보

- 선착장까지 자갈밭으로 휠체어 및 유아차 진입 어려움

- - 체험장 인근 주차장 (장애인 주차구역 2면)

- 뗏목 체험장 인근 장애인 화장실


 

- 어라연 관광호텔

▪ 주소 : 강원 영월군 영월읍 은행나무길 22

▪ 문의 : 033)375-8880

▪ 홈페이지: https://hotelorayeon.jalib.site

▪ 무장애 편의정보

▪ 대부분 평지, 주출입구 단차 없음, 자동문, 전층 운행 엘리베이터

▪ 호텔 주차장 (장애인 주차구역 1면

▪ 장애인 이용 가능 객실 1개 보유

‘호텔 어라연’ 외관 ‘호텔 어라연’ 외관
단차가 없고 자동문인 로비 출입구 단차가 없고 자동문인 로비 출입구 엘리베이터와 무인 카페가 있는 로비 엘리베이터와 무인 카페가 있는 로비
어라연 관광호텔 장애인 주차구역 어라연 관광호텔 장애인 주차구역
장애인 이용 가능 객실 현관 장애인 이용 가능 객실 현관 아늑하고 포근한 분위기의 객실 내부 아늑하고 포근한 분위기의 객실 내부
장애인 이용 가능 객실 화장실 내부 장애인 이용 가능 객실 화장실 내부
[식당 정보]

- 진미막국수 왕갈비탕

▪주소 : 강원 강릉시 사천면 진리항구길 49

▪ 주소 : 강원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27

▪ 문의 : 033)374-3782

▪ 대표메뉴 : 왕갈비탕, 막국수(물·비빔), 수육, 곤드레찐만두

▪ 주차: 인근 공영주차장 무료

▪ 무장애 편의시설

- 자동문, 경사로 설치, 좌식·입식테이블

- 인근 영월문화예술회관 주차장 (장애인 주차구역 3면)

- 장애인 화장실 없음

경사로가 설치된 ‘진미막국수’ 출입구 경사로가 설치된 ‘진미막국수’ 출입구
진미막국수의 별미 비빔막국수 진미막국수의 별미 비빔막국수 막국수와 곁들여 먹으면 좋은 만두와 수육 막국수와 곁들여 먹으면 좋은 만두와 수육

※ 위 정보는 2024년에 작성한 것으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글/사진 : 최정규(여행작가)

교통

[교통약자 이동지원]

 

▪강원특별자치도광역이동지원센터 : 1577-2014, https://call.gwd.go.kr, 연중무휴 24시간

여행경험 나누기

0/500

‘장애인’ 추천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