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왔어예?” 지하철로 즐기는 대구 ‘무장애 여행’

대구 수정일 : 2021.05.26
좋아요1 공유4 조회수

여행코스

<전체 이동 경로 >
동대구역 - 지하철 50분+도보 20분, 약 18km - 대구수목원 - 도보 20분+지하철 40분. 약 13km - 서문시장 야시장 - 지하철 25분+도보 약 8분. 약 9km - 수성유원지(수성못) - 도보 8분+지하철 15분+도보 8분 . 약 5.5km -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 도보 8분+지하철 30분+도보 8분, 약 7km - 아양기찻길 

 

추천 여행 코스(당일 코스)

대구지하철 3호선 코스 : 수성유원지(수성못) -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 서문시장 야시장 대구지하철 1호선 코스 : 대구수목원 - 아양기찻길

 

추천 여행 코스(1박 2일 코스)

첫째 날  : 수성유원지(수성못) -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 서문시장 야시장 

둘째 날  : 대구수목원 - 아양기찻길

코스상세

초가을의 대구수목원 초가을의 대구수목원
대구 전체지도 대구 전체지도

그토록 뜨겁던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왔다. 어디든 훌쩍 떠나기 좋은 때. 하지만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는 휠체어 이용자들에게 ‘훌쩍’이란 단어는 멀기만 하다. 미리 조사하고 확인하지 않으면 안 될 것들이 많아서다. 그래서 제안한다. 이번 가을엔 “조금 더 가벼운 마음으로 멀리까지 떠나보면 어떨까?” 하고. 제안 여행지는 대구다. 대구는 교통 접근성이 좋아 지하철만으로도 제법 매력적인 여행지를 여러 군데 돌아볼 수 있는 도시다. 그 중 대구지하철 1호선과 3호선 라인으로만 코스를 짰다. 두 라인 모두 매력적이지만 3호선은 ‘달리는 전망대’로 불리는 ‘하늘 열차’ 코스라 더욱 신난다.

 

오래 머물며 쉬기 좋은 숲, 대구수목원

 

대구지하철 1호선 대곡역이 기점이다. 24만6천503㎡의 넓이에 1천900종, 45만 본의 식물을 갖춰 어디보다 숲이 크고 울창하다. 그래서일까, 앉아 쉴 그늘이 많고 숲 바람을 쐬며 거닐기에도 좋다. 무엇보다 좋은 건 전동휠체어의 접근성이 좋아 탐방이 수월하다는 것. 주 탐방로 대부분이 평지이거나 완만한 오르막길인 덕분이다. 여기에 선인장온실을 비롯한 열대과일원, 종교관련 식물원 등 온실과 산림문화전시관, 카페 등 주요시설물 출입에도 불편이 적어 수목원 전체 규모의 80~85%를 탐방할 수 있다. 다만 주 탐방로와 테마원을 연결하는 길 일부에 박석이 깔려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수목원 내 분재원 수목원 내 분재원
수목원 내 주 탐방로(포장도로) 수목원 내 주 탐방로(포장도로)
수목원 내 주 탐방로(덱 관람로) 수목원 내 주 탐방로(덱 관람로)
종교관련 식물원 입구 종교관련 식물원 입구
수목원 내 분수대 수목원 내 분수대
수목원 내 카페 풍경 수목원 내 카페 풍경
숲속 앞 야외 테이블 숲속 앞 야외 테이블
깔끔한 내부 인테리어 깔끔한 내부 인테리어

수목원엔 꽃도 풍성하다. 계절에 따라 다르지만 선인장 온실(입구 경사 있음)을 제외한 두 개의 온실에 불편 없이 접근할 수 있어, 사계절 어느 때나 아름다운 꽃을 볼 수 있다. 인기 온실은 바나나꽃 등이 피는 열대과일원. 이곳에서는 이국적인 꽃뿐 아니라 동남아지역의 과일들을 잔뜩 볼 수 있어 재미있다. 온실 내부가 평탄해 탐방하기에도 좋다. 

방향식물원을 비롯한 수목원 곳곳에서 만나는 꽃도 반가운 선물이다. 이 계절엔 주로 구절초, 이질풀, 상사화 같은 꽃이 피고, 10월 이후로는 국화가 우르르 핀다. 특히 10월 27일부터 11월 11일까지는 수목원 국화축제 기간. 이때 수목원을 찾으면 노랗고 빨간 국화와 그 향기에 흠뻑 취할 수 있다.

대구수목원 국화축제(대구수목원 제공) 대구수목원 국화축제(대구수목원 제공)
국화축제(대구수목원 제공) 국화축제(대구수목원 제공)
열대과일원 망고 열대과일원 망고
수목원 내 그늘시렁 수목원 내 그늘시렁
죽림원 죽림원
약초원 약초원

테마원 중에서도 휠체어 이용자들에게 특별히 인기 있는 곳이 있다. 습지원과 분재원, 약초원, 죽림원 등이다. 네 곳 모두 매력적인 데다, 탐방 구간 전체가 평지여서 수동휠체어 이용자도 혼자 움직이며 탐방이 가능하다. 또 하나 눈에 띄는 점은 수목원 곳곳에 있는 그늘시렁(지붕 있는 쉼터)이다. 휠체어가 접근할 수 있도록 중간이 뚫려 있는 형태로 설치돼 있어, 동행자들과 나란히 앉아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산림문화전시관 전경 산림문화전시관 전경
전시관 1층 내부 전시관 1층 내부
전시관 2층 내부 전시관 2층 내부
전시관 2층의 VR체험 공간 전시관 2층의 VR체험 공간

대구수목원에서는 산림문화전시관도 필수 탐방 코스다. 전시물이 얼마나 재미있느냐를 떠나 특별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목원이 개장한 2002년 이전 이곳은 쓰레기 매립장이었다. 관련 단체와 주민들의 노력, 그리고 자연의 복원력으로 이토록 무성한 그늘을 드리우는 숲이 됐다. 산림문화전시관에서는 그에 관한 이야기를 자세하게 들을 수 있고, 수목원에서 자라는 식물에 대한 정보를 다채롭게 얻을 수 있다. 휠체어 관련 편의시설도 잘 갖춰져 있는 편이다. 건물 입구에 경사로가 설치돼 있고 내부에 장애인 화장실과 엘리베이터를 갖췄다.다만 열대우림을 영상으로 체험할 수 있는 VR체험공간은 턱이 있어 진입이 불가하다. 그 턱 바깥으로 선을 길게 뺀 후 체험할 수 있다. 

선인장온실 주변 장애인화장실 입구 선인장온실 주변 장애인화장실 입구
산림문화전시관 내 장애인화장실 산림문화전시관 내 장애인화장실
장애인 주차구역 장애인 주차구역

수목원 입구에 장애인 주차구역이 여러 면 있고, 야외에 장애인화장실 4개소를 갖췄다. 다만 야외 화장실 4개소 모두 입구에 경사가 있어 수동휠체어 이용자(전동휠체어 이용자는 주의 필요)의 경우 동행인의 보조를 받아야 한다. 수목원 제일 위쪽에 있는 전통정원 접근에도 동행인의 보조가 필요하다. 비포장 흙길인데다 중간에 20도 정도 경사진 내리막길(오르막길)이 10m쯤 있다. 수목원 내에서 주의가 필요한 지점은 또 있다. 덱 관람로 입구인데, 경사로 자체의 경사가 가팔라 전동휠체어와 수동휠체어 이용자 모두 동행인의 보조를 받아 뒤로 내려오는 것이 좋다. 추천 탐방 코스는 수목원 입구에서 포장도로를 따라 죽림원까지 올라갔다가, 덱을 따라 내려오는 것. 수동휠체어 이용자는 이 코스 내에서도 완만한 오르막 구간이 길어, 동행을 동반해 방문하는 것이 좋다.

 

• 시각장애인 여행 포인트 •

수목원 내에 있는 소규모 테마원 중 향기가 강한 두 곳이 있다. 약초원과 방향식물원이다. 약초원에서는 당귀, 사상자 같은 몸에 좋은 약초들이 자라고, 방향식물원에서는 로즈메리, 페퍼민트 같은 허브식물들이 자란다. 산림문화전시관 2층에 있는 향기체험 코너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박하를 비롯한 향기가 강한 식물 2~3가지의 향을 직접 맡아볼 수 있도록 전시해 놓았다.

산림문화전시관 2층 향기 코너 산림문화전시관 2층 향기 코너
향기가 강한 식물의 향을 맡아볼 수 있다 향기가 강한 식물의 향을 맡아볼 수 있다

지하철 이용 및 이동 경로 안내

 

대구지하철 1호선 대곡역 3번 출구가 기점이다. 엘리베이터는 3번 출구와 4번 출구 옆에 하나씩 있다. 3번 출구에서 수목원 입구까지 거리는 1.64km. 다만 인도의 폭이 좁은 데다 좌우로 비탈진 구간이 많아 이동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수동휠체어는 도보로 이동하는 전 구간에서 동행인의 보조를 받아야 한다. 나드리(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대구지하철 1호선 대곡역 엘리베이터 대구지하철 1호선 대곡역 엘리베이터
대곡역 지하철 탑승장 대곡역 지하철 탑승장
대구지하철 1호선의 장애인석 대구지하철 1호선의 장애인석
대구 수목원 안내도 대구 수목원 안내도

매일 밤이 ‘야식 천국’, 서문시장 야시장

 

요즘 대구에서 ‘핫’하다고 소문난 곳 중 하나다. 동산병원 건너 서문시장 입구부터 큰장삼거리까지 350m 구간이 노란 이동식 포차 세상이다. 취급 메뉴는 다양하다. 우유튀김에서부터 야채뚱땡삼겹말이, 불타는 스테이크까지 군침 도는 것들로만 80여 가지다. 야식을 먹으며 즐길 수 있는 공연이 잦은 것도 매력이다. 댄스공연부터 다양한 버스킹까지가 매일 밤 펼쳐진다. 휠체어 이동성도 괜찮다. 서문시장역(대구지하철 3호선)에서 야시장 입구까지 턱이 없고, 야시장 전 구간이 평지다. 다만 주말에는 방문자가 많아 시장통이 붐비므로 이동 시 주의가 필요하다. 서문시장 내에 있는 ‘대신119안전센터’에 장애인주차구역이 있고, 건물 1층에 장애인화장실이 있다.

서문시장 야시장 입구 서문시장 야시장 입구
야시장 시장통 야시장 시장통
야시장 댄스공연 야시장 댄스공연
야시장 이동식 포차 야시장 이동식 포차
인기야식-삼겹살 말이 인기야식-삼겹살 말이
인기야식-계란빵 인기야식-계란빵

지하철 이용 및 이동 경로 안내

 

대구지하철 3호선 서문시장역 3번 출구가 기점이다. 엘리베이터는 2번과 3번 출구 사이, 1번과 4번 출구 사이에 각각 하나씩 있다. 3번 출구에서 야시장 입구까지 거리는 100여m다.

서문시장 야시장 안내도 서문시장 야시장 안내도

가을 정취 물씬한 호숫가, 수성유원지(수성못)

 

대구에서 수성유원지는 예로부터 유명했다. 바람 쐬기 좋아서다. 지금도 슬슬 거닐며 바람 쐬기 좋은 곳으로는 단연 첫손에 꼽힌다. 이유는 단 하나, 시원하게 펼쳐진 호수와, 호수 한가운데서 치솟는 영상음악분수 덕분이다. 최근엔 다양한 즐길 거리까지 늘어 거닐기 더 좋아졌다. 대표적인 즐길 거리는 수변산책로와 수성못 상화동산, 수성못 갤러리이다.

수성유원지 수변산책로 풍경 수성유원지 수변산책로 풍경
수성유원지의 가을 수성유원지의 가을
수성못 오리보트 탑승장 수성못 오리보트 탑승장
수성유원지의 수변산책로와 동자섬 수성유원지의 수변산책로와 동자섬
수성유원지 야경(대구 수성구청 제공) 수성유원지 야경(대구 수성구청 제공)
수성못 상화동산 내 상화시비 수성못 상화동산 내 상화시비

이 중 호수의 동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조성된 수변산책로는 꽃과 나무와 호수가 함께 하는 길이다. 이 길은 특히 턱과 경사가 거의 없는 무장애 탐방로로 조성돼 휠체어 접근성이 더 좋다. 

수성유원지 내 흙길 산책로 수성유원지 내 흙길 산책로
수상무대 진입 경사로 수상무대 진입 경사로
영상음악분수를 감상하는 사람들 영상음악분수를 감상하는 사람들
수성유원지 장애인화장실 수성유원지 장애인화장실
전동휠체어 고속충전기 전동휠체어 고속충전기
들안길 먹거리타운 방향 경사로 들안길 먹거리타운 방향 경사로

호수의 남쪽과 북쪽에 장애인화장실이 1개소씩 있고, 수성못역(대구지하철 3호선)과 수성못 상화동산 사이에 전동휠체어 고속충전기 1대가 있다. 호수의 북서쪽 길은 탄탄한 평지 흙길이고, 남동쪽 길은 덱이나 블록으로 포장돼 있어 휠체어로 한 바퀴 편안하게 돌 수 있는데, 한 바퀴 도는 데 1시간 정도가 걸린다. 야간에 찾는다면 야간 조명으로 더욱 화려해진 수성못의 정취를 즐길 수도 있다.

 

지하철 이용 및 이동 경로 안내

 

대구지하철 3호선 수성못역 1번 출구가 기점이다. 1번 출구 옆에 엘리베이터가 있다. 1번 출구에서 수성유원지 입구(수성못 상화동산)까지는 550여m 거리. 이동할 때 긴 횡단보도를 한 차례 지나야 한다.

‘달리는 전망대’라 불리는 대구지하철 3호선 ‘달리는 전망대’라 불리는 대구지하철 3호선
대구지하철 3호선 지하철 탑승장 대구지하철 3호선 지하철 탑승장
대구지하철 3호선 내부 장애인석 대구지하철 3호선 내부 장애인석

수성유원지 입구에 있는 들안길 먹거리타운을 거쳐 수성유원지로 진입할 때는 특별히 조심해야 할 구간이 있다. 수성못과 들안길 사이에 고도차가 있기 때문인데, 계단 중간에 지그재그로 경사로가 설치돼 있다. 이 경사로에 안전바 시설이 구비되지 않아, 이동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수성유원지 안내도 수성유원지 안내도

1년 365일 김광석의 노래가 흐르는,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은 가수 김광석의 노래를 벽화를 보며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구간 거리는 남쪽 출입구에서 북쪽 출입구까지 350여m. 이 길을 따라 벽면 한쪽으로는 그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벽화가 그려져 있고, 다른 한쪽으로는 예쁜 카페와 공방 등이 늘어서 있다. 벽화의 테마는 그와 서른셋에 멈춘 그의 노래. 벽화 중간 중간에 있는 빨갛고 파란 버튼을 누르면 그의 애잔하고 감미로운 목소리가 물감처럼 번진다. 많은 이들이 이 길에서 깊은 우수에 잠기는 이유다.

‘이등병의 편지’를 테마로 한 벽화 ‘이등병의 편지’를 테마로 한 벽화
거리 내 버스킹 모습 거리 내 버스킹 모습
김광석 조형물 앞 김광석 조형물 앞
거리 내 낙서칠판 거리 내 낙서칠판
‘말하지 못한 내 사랑’을 테마로 한 벽화 ‘말하지 못한 내 사랑’을 테마로 한 벽화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풍경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풍경
카페 LU&(휠체어 접근 가능) 카페 LU&(휠체어 접근 가능)
야외공연장 장애인관람석 야외공연장 장애인관람석

이 길의 가장 큰 매력은 휠체어 접근성에 있다. 지난 2015년에 열린관광지 조성사업을 완료해, 대구 어느 곳보다 휠체어 접근성이 좋다. 더불어 촉지형 안내판 등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도 일부 갖췄다. 

거리 내 장애인 화장실 입구 거리 내 장애인 화장실 입구
장애인 화장실 내부 장애인 화장실 내부
시각장애인용 촉지안내판 시각장애인용 촉지안내판

다만 남쪽 출입구 쪽 경사가 가팔라 인근 골목을 우회해 접근하는 것이 좋고, 북쪽 출입구 쪽에 있는 김광석 조형물 앞도 경사져 관람 시 주의가 요구된다. 남쪽 출입구 쪽 주차장에 장애인 주차구역(지하 1층)이 있고, 북쪽 출입구 쪽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지형 안내판이 설치돼 있다. 주변에 장애인화장실 1개소가 있고, 야외공연장에 장애인 관람석 2면이 구비돼 있다.

 

• 시각장애인 여행 포인트 •

북쪽 출입구 근처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지형 안내판이 설치돼 있다. 안내판 오른쪽 하단에 있는 음성안내버튼을 누르면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에 대한 정보가 비교적 상세하게 안내된다. 음량높이도 적당하다는 평이다. 또 노래 ‘이등병의 편지’를 테마로 한 벽화와, 야외공연장 입구 벽면에 설치된 김광석 조형물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해당 노래나 김광석에 대한 음성안내가 나온다.

김광석 소개 음성안내버튼 김광석 소개 음성안내버튼
김광석과 거리 소개 안내판 김광석과 거리 소개 안내판

• 청각장애인 여행 포인트 •

북쪽 출입구 근처에 가수 김광석을 설명한 안내판이 설치돼 있다. 가수 김광석의 일대기와 방천시장에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이 조성된 이유 등이 자세하게 설명돼 있다. 안내판에 따르면 김광석이 어릴 적 방천시장 근처에서 자란 것이 인연이 됐다는 설명이다. 시간이 넉넉하다면 이 길과 함께 방천시장까지 둘러본다면 금상첨화겠다.

 

지하철 이용 및 이동 경로 안내(+ 청라버스 이용 안내)

 

대구지하철 3호선 대봉교역 4번 출구가 기점이다. 엘리베이터는 1번과 4번 출구 사이, 2번과 3번 출구 사이에 각각 하나씩 있다. 4번 출구에서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남쪽 출입구까지 거리는 600여m. 가는 동안에 턱이나 경사가 가파른 구간이 없어 수동휠체어 이용자도 동행인 보조 없이 이동할 수 있다.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에서는 청라버스를 이용해 이동할 수도 있다.

청라버스는 대구시 중구의 주요 여행지를 순환하는 중형 버스로, 리프트가 설치돼 있어 휠체어 이용자도 탑승이 가능하다. 향촌문화관(대구역)~대구근대역사관~동성로~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김광석 다시그리기 길~봉산문화거리~청라언덕~서문시장~향촌문화관 코스를 1일 7회 순환 운행한다.

대구 중구 주요 여행지를 순환하는 청라버스 대구 중구 주요 여행지를 순환하는 청라버스
버스 후면으로 리프트가 있어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다 버스 후면으로 리프트가 있어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다
가운데 통로가 있고, 마주보는 형식으로 좌석이 배치되어 있다 가운데 통로가 있고, 마주보는 형식으로 좌석이 배치되어 있다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안내도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안내도

금호강 위에 둥실 뜬 전망대, 아양기찻길

 

폐선된 대구선의 일부를 재생해 관광명소로 재탄생시킨 곳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금호강을 가로지르는 아양철교를 카페와 갤러리, 디지털다리박물관 등을 갖춘 아양기찻길로 리모델링해 만든 문화공간이다. 연인들이 대구를 여행할 때 빼놓지 않고 들리는 데이트 코스 중 하나로, 낮밤 풍경이 모두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하다.

아양기찻길의 강화유리 위를 걷고 있는 여행객 아양기찻길의 강화유리 위를 걷고 있는 여행객
아양기찻길(대구 동구청 제공) 아양기찻길(대구 동구청 제공)
아양기찻길의 밤풍경 (대구 동구청 제공) 아양기찻길의 밤풍경 (대구 동구청 제공)
아양뷰 내 카페 아양뷰 내 카페
아양뷰 내 디지털다리박물관 아양뷰 내 디지털다리박물관
디지털다리박물관 내 터치패널 디지털다리박물관 내 터치패널
아양뷰 내 카페 아양뷰 내 카페
아양뷰 내 디지털다리박물관 아양뷰 내 디지털다리박물관
디지털다리박물관 내 터치패널 디지털다리박물관 내 터치패널

휠체어 접근성도 좋은 편이다. 대구지하철 1호선 아양교역에서 평지 길(아양교 포함)을 따라 700여m 도보 이동하면 어느새 기찻길 중간쯤에 있는 중앙전망대(아양뷰)에 닿는다. 옛 레일을 그대로 살려 나무 덱을 입힌 덕분에 장애 없는 덱을 걸으며 좌우로 길게 펼쳐진 금호강을 바라볼 수 있다. 차 한 잔을 마시며 쉴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아양뷰 북쪽 100m 거리에 있는 ‘대구선 아양공원’에 장애인화장실이 있고, 남쪽 100여m 거리에 공영주차장(장애인 주차구역 없음, 경사로 있음)이 있다.

 

• 청각장애인 여행 포인트 •

아양뷰는 디지털 다리박물관으로도 활용된다. 이곳에는 터치패널 9대가 설치돼 있어, 여행객이 터치패널의 대형 스크린을 차례대로 누르면 국내외 주요 다리의 명칭과 위치, 내력 등을 사진과 활자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하철 이용 및 이동 경로 안내

 

대구지하철 1호선 아양교역 4번 출구가 기점이다. 엘리베이터는 4번 출구 앞에 있다. 아양교역에서 아양기찻길로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 아양교를 건너 진입하는 방법과 청기와아파트단지를 지나 경사로를 타고 오르는 방법이다. 전자로 접근할 경우 이동 거리는 700여m이고, 후자로 접근할 때 이동 거리는 630여m이다. 청기와아파트 쪽은 오르막(내리막) 구간이 있는데다 경사로(미끄럼방지턱 주의)가 제법 길어 수동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아양교를 통해 왕복하길 권한다.

아양기찻길 안내도 아양기찻길 안내도

‘휠체어 접근 가능한’ 숙박시설

 

동대구역(경부선, 대구지하철 1호선)에서 800m 거리에 장애인 객실을 갖춘 스테이22호텔(모텔)이 있다. 객실 입구에 1cm와 1.5cm 턱 두 개가 결합된 이중 턱이 있고, 방 입구에 2.5cm 가량의 턱이 있다. 화장실의 경우에도 약간의 턱이 있다. 화장실 바깥에 이중 턱(1cm+1.5cm)이 있고, 안쪽 아래로 1.5cm가량의 턱이 있다. 문 폭은 전체적으로 넓은 편. 객실 내부와 화장실도 널찍한 편이다. 세련된 인테리어도 장점이다. 숙박비에 조식이 포함돼 있고, 2층 조식 공간에는 휠체어 접근도 가능하다. 다만 1‧3주 월요일엔 조식이 제공되지 않는다.

스테이22호텔의 장애인객실 내부1 스테이22호텔의 장애인객실 내부1
스테이22호텔의 장애인객실 내부2 스테이22호텔의 장애인객실 내부2
객실 내부 객실 내부
객실 입구 객실 입구
화장실 내부 화장실 내부

휠체어 접근 가능한’ 음식점

 

대구에는 ‘대구 10미’로 일컬어지는 별미 10가지가 있다. 따로국밥, 납작만두, 복어불고기, 막창, 무침회, 메기매운탕, 야끼우동, 누른국수, 뭉티기, 동인동 찜갈비 등이 그것이다. 이 중 두 가지 별미를 추천 여행지 인근에서 맛볼 수 있다. 납작만두와 복어불고기다. 납작만두는 만두피에 당면과 부추 등의 소를 조금만 넣어 보기에도 딱 납작한 만두로, 서문시장 부근에 있는 미성당(본점)에서 맛보는 것이 정석으로 알려져 있다. 대게는 고소하게 구운 납작만두에 양파와 파, 고춧가루 등이 섞인 간장을 뿌려 새콤달콤하게 먹는데, 쫄면과 함께 먹는 맛도 괜찮다. 다만 식당 출입이 불편한 건 단점이다. 계단이 있거나 턱이 높은 것은 아니지만, 문을 경계로 바깥쪽 경사로(시멘트)가 깨져 있고, 턱 안쪽 아래로 5~6cm 가량의 턱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반드시 숙련된 동행인의 보조를 받길 바란다. 이 같은 점이 불편할 경우에는 미성당(본점)이 아닌, 서문시장 야시장이나 서문시장 안에 있는 먹거리 골목 등에서 납작만두를 맛보는 것이 좋겠다.

복어불고기 복어불고기
복어불고기 볶음밥 복어불고기 볶음밥
미성복어불고기 입구 경사로 미성복어불고기 입구 경사로

복어불고기는 들안길 먹거리타운(수성유원지에서 약 1km 거리)에 있는 미성복어불고기(본점)에서 맛볼 수 있다. 복어불고기 전문점으로 대구에서는 알아주는 맛집이다. 양념이 듬뿍 밴 복어 살을 당면과 콩나물에 돌돌 말아 먹는 맛도 괜찮고, 복어 살을 다 먹은 뒤에 해당 양념에 밥을 볶아 먹는 맛도 괜찮다. 입구에 경사로가 있고 식당(자동문) 내부에 단차는 없다. 다만 경사로 입구에 나무 두께(2~3cm)만큼의 턱이 있고, 경사로가 살짝 흔들려 동행인의 보조를 받아 진입하는 것이 좋다. 

칼국수 칼국수
수제비 수제비
삼거리손칼국수 식당 입구 삼거리손칼국수 식당 입구

대구수목원 인근에도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맛집이 있다. 삼거리손칼국수(수목원 장애인 주차구역에서 470m)다. 손으로 반죽부터 칼질까지 하는 곳으로 진한 국물 맛이 일품이다. 칼국수와 함께 손으로 반죽을 떼어 넣어 끓인 수제비도 인기다. 입구부터 식당(자동문) 내부까지 단차가 없다.

여행정보

문의 

청라버스 : http://alleybus.jung.daegu.kr / 대구시 중구 서성로 14길 26 / 053-255-0531(문화마을협동조합)
관광 안내 : 대구관광안내  http://tour.daegu.go.kr / 053-627-8900(대구관광정보센터)
휠체어로 즐기는 대구관광 : http://www.wheeltour.or.kr / 053-633-8001, 621-6160
음식·숙박정보
숙박 정보
스테이22호텔(모텔) http://play22.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22길 37 / 053-754-9663.

식당 정보
미성복어불고기(들안길 본점) : 053-767-8877 /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87
* 주요메뉴: 밀복불고기, 콩나물 은복불고기, 새송이 은복불고기 등.
* 접근성 : 주차장 있으나 장애인 주차구역 없음. 경사로 있으나 2~3cm정도 턱 있고 약간 흔들림. 자동문. 입식테이블 있음. 장애인 화장실 없음. 
* 휴무일 : 명절 전날과 당일 휴무. 
* 영업시간 : 10:00~23:00.

금산삼계탕 : 053-761-9331 / 대구 수성구 들안로 49.
* 주요메뉴: 금산삼계탕, 전복송이죽, 고디탕 등. 
* 접근성 : 주차장 있음. 장애인 주차구역 있음. 경사로 있음. 입식테이블 있음. 장애인화장실 있음. 
* 휴무일 : 명절 당일 휴무. 
* 홈페이지 :  http://www.keumsan.co.kr
* 영업시간 : 24시간.

삼거리손칼국수 : 053-637-4077,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33.
* 주요메뉴: 칼국수, 수제비, 콩국수 등. 
* 접근성 : 주차장 있음. 장애인 주차구역 없음. 단차 없음. 입식테이블 있음. 장애인화장실 없음. 
* 휴무일 : 명절 연휴 3일(전일, 당일, 익일) 휴무.
* 영업시간 : 11:00~21:00

글, 사진 : 이시목(여행작가), 박경미(일러스트)

 

※ 위 정보는 2018년 9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교통

이동 정보 / 대중교통 이용 정보
대구시설관리공단 이동지원센터 나드리콜:  nadricall.dgsisul.or.kr/html/ / 1577-6776.
기아자동차 초록여행 :  greentrip.kr / 1670-4943 / 사전예약 / 최대 2박3일 이용.
 
지하철 
* 대곡역 ~ 대구수목원 :
대곡역에서(1호선 3번 출구 / 3, 4번 출구 옆 엘리베이터 각 1대 존재) 수목원 입구까지 약 1.64km 거리. 인도 폭이 좁고, 좌우로 비탈진 구간이 많아 이동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 수동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도보로 이동하는 전 구간에서 동행인의 보조 필요함.
 * 서문시장역 ~ 서문시장 야시장 :
서문시장역에서(3호선 3번 출구 / 2, 3번 출구 사이 및 1, 4번 출구 사이 엘리베이터 각 1대 존재) 야시장 입구까지 약 100m 거리.
 * 수성못역 ~ 수성유원지(수성못 상화동산) :
수성못역에서(3호선 1번 출구 / 1번 출구 옆 엘리베이터 존재) 수성유원지 입구까지 약 550m 거리. 이동 시 횡단보도 1회 횡단함.
* 대봉교역 ~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
대봉교역에서(3호선 4번 출구 / 1, 4번 출구 사이 및 2, 3번 출구 사이 엘리베이터 각 1대 존재)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남쪽 출입구까지 약 600m 거리. 턱이나 경사가 가파른 구간이 없어 수동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동행인 보조 없이 이동 가능함.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에서 청라버스를 이용해 다른 관광지로 이동할 수 있음.
 * 아양교역 ~ 아양기찻길 :
① 아양교역에서(1호선 4번 출구 / 4번 출구 앞 엘리베이터 존재) 아양교를 건너 아양기찻길까지 약 700m 거리.
② 아양교역에서(1호선 4번 출구 / 4번 출구 앞 엘리베이터 존재) 청기와아파트 단지를 지나 경사로를 타고 아양기찻길까지 약 630m 거리.
청기와아파트를 지나는 길(②)은 오르막 및 내리막 구간이 있고, 경사로(미끄럼방지턱 주의)가 제법 길어 수동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아양교를 통해(①) 왕복하길 추천함.
 
청라버스
(청라버스 : 대구시 중구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는 중형 버스, 리프트가 설치돼 있어 휠체어 이용자도 탑승 가능함.)
* 코스 : 향촌문화관(대구역) ~ 대구근대역사관 ~ 동성로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 봉산문화거리 ~ 청라언덕 ~ 서문시장 ~ 향촌문화관 (1일 7회 순환운행) 
☎ 053-255-0531,  http://alleybus.jung.daegu.kr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용금지,변경금지)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왔어예?” 지하철로 즐기는 대구 ‘무장애 여행’"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 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한국관광공사의 저작물에 기초 -

여행경험 나누기

0/500

‘장애인’ 추천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