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동 경로
문화비축기지 - 자동차 2분 약 600m - 매봉산 무장애숲길 - 자동차 5분 약 900m - 월드컵공원 일대(평화의공원 & 하늘공원 메타세쿼이아길 & 하늘공원) - 자동차 15분 약 3.2km - 경의선 숲길 & 경의선 책거리 - 자동차 5분 약 1km - KB청춘마루
추천 여행 코스
□ 당일 코스
봄 산책 코스 : 매봉산 무장애숲길 - 평화의공원 - 하늘공원 메타세쿼이아길 - 하늘공원(낙조+야경)
문화체험 코스 : 문화비축기지 - 경의선 숲길 - 경의선 책거리 - KB청춘마루
□ 1박 2일 코스
첫째 날: 경의선 숲길 - 경의선 책거리 - KB청춘마루 - 하늘공원(낙조+야경)
둘째 날: 매봉산 무장애 숲길 - 문화비축기지 - 평화의공원 - 하늘공원 메타세쿼이아길
*분류를 선택하여 편의시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류를 선택하여 편의시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장애 이동 동선에 따른 주의 안내 아이콘/아이콘 선택 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지도는 관광지 현장과 내부동선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서울, 그 중에서도 마포는 ‘낡음’과 ‘새로움’이 공존하는 도시다. 낡은 것을 폐기하지 않고 되살려 현재를 살게 하니, 어느 곳보다 깃든 이야기가 풍성하다. 여기에 오랜 시간 공들여 가꿔온 공원까지 넉넉하니 이 봄이 참 푸르다. 그래서 이맘때, 콕 찍어 마포를 찾았다. 휠체어 두 바퀴에 튤립이며 석유탱크, 숲 그늘, 낙조, 책들이 예쁘게 걸렸던 시간이다.
문화비축기지의 첫인상이 남다른 덴 그만한 이유가 있다. 사실 이곳은 22년 간 숨겨진 국가의 1급 보안 시설이었다. 1970년대 ‘석유파동’을 겪은 정부가, 석유 공급이 끊기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목적으로, 초대형 석유 저장탱크 5개를 매봉산 자락 암반에 매립한 것. 이후 2000년 한일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이전하며 폐쇄됐고, 오랜 시간 방치되다 17년 만에 ‘문화시설’로 깨어났다. 덕분에 ‘새로우면서도 낡은’ 풍경 하나가 우리 곁에 남을 수 있었다.
T5부터 둘러보자. T5는 오랜 이야기가 고여 있는 자리다. 석유비축기지의 시작과 끝을 들려주고, 문화비축기지의 시작도 보여준다. 내부 구조도 재미나다. 외부와 내부가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탱크의 안과 밖, 절개해 드러난 암반까지가 고스란히 보여, 구경하는 재미에 사진찍는 재미까지 쏠쏠하다. T2와 T1도 인상적이다. 이 두 곳에선 하늘을 바라볼 수 있다. T2는 하늘이 뻥 뚫린 야외공연장이 됐고, T1은 벽과 지붕이 유리로 뒤덮여 하늘이 보이는 화사한 파빌리온이 됐다. 바람 좋은 날 개방감이 좋은 T2에 서거나, 비 내리는 날 T1에 서면 특별한 풍경이 펼쳐지겠다.
숲길 끝에 있는 전망 덱과 풀무골대장간 주변에서 풀을 뜯는 토끼도 빼놓으면 섭섭할 볼거리다. 전망 덱에 서면 상암DMC 일대와 북한산이 훤히 보이고, 풀무골대장간 주변으로 가면 곳곳에서 풀을 뜯는 3마리의 토끼를 만날 수 있다. 사람과 친숙한 토끼들이라 가까이 다가가 잠시 교감을 시도해 봐도 좋겠다.
서울 마포엔 ‘버려진 철길’이 숲길이 되고, ‘버려진 철길’이 ‘책’을 만나 개성 있는 책방이 된 곳이 있다. ‘경의선숲길’과 ‘경의선책거리’가 그곳이다. 경의선은 용산과 신의주를 잇는 철길로 지난 1906년 개설됐다. 2009년 서울역과 문산역을 잇는 광역전철이 개통되면서, 일부 구간이 지하로 변경된 역사가 있다. 이때 지상에 남은 폐철도 부지를 이용해 만든 공원이 경의선숲길과 경의선책거리다. 엄밀하게 말하면 경의선숲길 안에 경의선책거리가 포함된다.
경의선책거리는 홍대입구역 6번 출구와 연결된다. 이곳에서 와우고가차도까지 250m 정도 되는 폐철로 구간을 공원으로 만들고, 그 안에 출판사가 위탁 운영하는 책방 10동을 배치했다. 공원과 서점이 공존하는 공간이 셈이다. 여기에 책을 테마로 한 조형물 여러 개와 간이역을 테마로 한 쉼터 한 곳을 두어, 오래 쉬어가기 좋은 공간으로 꾸몄다.
‘웃는 고양이’ 무슈샤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홍대입구에 있는 KB청춘마루에 그 무슈샤가 떴다. 건물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무슈샤가 가득해 마음껏 웃으며 사진 찍기 좋다. 비단 무슈샤 때문이 아니라, KB청춘마루는 공간 자체가 가진 특성만으로도 충분히 ‘힙’하다. 이름에서처럼 ‘청춘’들이 깃들기 좋게 꾸며진 데다, 각종 놀 거리 또한 풍성해, 하루 종일을 이곳에서 보낸다 해도 지루할 틈이 없겠다 싶다.
□ 마포문화관광 : culture.mapo.go.kr , 02-3153-8650 (마포구청 관광과)
□ 매봉산 무장애숲길 :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02-3153-9573(마포구청 공원녹지과)
□ 평화의공원 : parks.seoul.go.kr/template/sub/worldcuppark.do ,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14 에너지드림센터, 02-300-5501(서부공원녹지사업소 서부공원녹지사업소)
□ KB청춘마루 : kbmaru.com /, 서울시 마포구 홍익로 18, 02-3144-7744
□ 문화비축기지
- 주차장에서부터 기지를 크게 한 바퀴 휘도는 관람로가 이어진다. 다만 주차장 권역과 전시관 권역의 높낮이가 달라, 진입 구간의 일부는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수동휠체어 이용자라면 설비동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전시관 권역으로 이동할 것을 권한다.
- 입구에 장애인 주차구역이 있고, 문화비축기지 내 총 4곳(안내동, 설비동, T2 공연장, T6 커뮤니티센터)에 장애인화장실(자동문, 남‧여 구분, 안전바 및 등받이 등 편의시설 있음, 내부 회전 가능, 점자블록 있음)이 있다. 엘리베이터는 설비동과 T6 커뮤니티센터에 있고, 주차장 옆에 있는 안내동에서 수동휠체어와 오디오가이드를 무료로 대여할 수 있다.
- 전시관 외부는 그늘이 적어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모자나 양산 등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 문화비축기지의 탐방로는 ‘매봉산 무장애 숲길’과 이어진다. 전동휠체어 이용자라면 설비동 앞에서 ‘매봉산 무장애 숲길’ 입구에 있는 장애인 전용 주차장까지 턱 없이 이동할 수있다.
□ 매봉산 무장애 숲길
- 월드컵터널 위쪽, 숲길 입구에 장애인 전용 주차장(4면, 일부 권역 경사짐)이 있다.
- 숲길에 따로 마련된 장애인화장실은 없지만, 300여m 거리에 장애인화장실(지하철6호선 월드컵공원역 2번 출구 주변, 문화비축기지 내 4곳)이 있다.
- 전동휠체어 이용자이거나 대중교통 이용자라면 서울월드컵경기장 북쪽에 있는 담소정을 숲길 산책의 기점으로 삼아도 좋다. 경기장 북문 주변에 장애인 주차구역이 있다.
* 입장료 : 무료.
* 휴장 : 없음. 연중무휴.
* 이용시간 : 제한 없음.
* 주차장 : 장애인 전용 주차장(4면) 있음. 다만 일부 구역 경사짐. 주차료 무료.
* 장애인화장실 : 없음.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2번 출구 주변 장애인화장실과 문화 비축기지 내 장애인화장실 이용 가능.
□ 평화의공원
- 공원 내 산책로는 대부분 평탄하다. 추천 산책 코스는 난지연못 주변. 턱이 없는 나무 덱과 아스팔트 포장길, 탄탄한 흙길이 번갈아 나타나 이동에 불편이 적다. 다만 덱 출입구가 매끄럽게 다듬어져 있지 않아 주의가 필요하다.
- 난지연못 가까운 곳에 장애인 주차구역이 있고, 연못 남서쪽(미닫이문, 남‧여 구분, 안전바 및 등받이 등 편의시설 있음, 내부 회전 가능, 점자블록 있음)과 남동쪽(미닫이문, 남‧여 구분, 안전바 및 등받이 등 편의시설 있음, 내부 회전 가능, 점자블록 있음) 2곳에 장애인화장실이 있다.
* 입장료 : 없음.
* 휴장 : 없음.
* 이용시간 : 생물 종 보호를 위해 야간 출입 통제. 자세한 시간은 홈페이지 참고.
* 주차장 : 있음. 장애인 주차구역 있음. 주차료 유료(소형 10분당 300원, 중형 10분당600원, 장애인등록 차량 80% 할인)
* 장애인화장실 : 총 3곳(에너지드림센터 내, 난지연못 남서쪽, 난지연못 남동쪽) 있음.
* 기타 : 휠체어 접근 가능 매점 있음. 주차장 진입지점 주변에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 있음. 수동휠체어 무료 대여 가능.
□ 하늘공원 메타세쿼이아 길
- 메타세쿼이아길 입구에 임시 주차할 수 있는 곳이 있고, 장애인화장실을 갖췄다. 다만 장애인화장실(자동문, 남‧여 구분, 안전바 및 등받이 등 편의시설 있음, 내부 회전 가능, 점자블록 없음, 다목적)의 경우 진입 지점의 바닥이 매우 거칠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메타세쿼이아 길은 두 곳이다. 강변북로 가까운 쪽에 있는 ‘좁은 길’과 그 안 쪽의 ‘넓은 길’. 두 길 모두 탄탄한 흙길로 평탄하나, 좁은 길의 경우 운치는 있으나 군데군데 나무뿌리가 튀어 나와 있어 산책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차량으로 이동할 경우, 목적지를 ‘하늘공원 메타세쿼이아길’이나, ‘서울시립미술관 난지창작스튜디오’로 입력하면 산책로 진입지점을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다.
* 입장료 : 없음.
* 휴장 : 없음.
* 이용시간 : 일출 후~일몰 직후.
* 주차장 : 없음. 진입로 주변에 임시 주차 가능.
* 장애인화장실 : 있음(메타세쿼이아길 서쪽 끝).
□ 하늘공원
- 장애인 등록 차량의 경우, 하늘공원 입구까지 차량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다. 마포자원회수시설 앞에서 ‘하늘공원’ 이정표를 보고 우회전하면 된다. 공원 입구에 차량을 임시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 공원 가장자리를 따라 띄엄띄엄 5개의 장애인화장실(자동문-탐방센터 뒤편 장애인화장실만 미닫이문, 남‧여 구분, 안전바 및 등받이 등 편의시설 있음, 내부 회전 가능, 점자블록 있음, 다목적)이 있다. 대부분 산책로에서 화장실 입구까지 완만한 경사로가 3~4m 이어진다.
- 공원 곳곳에 낙조와 야경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있다. 이 중 공원 중간을 관통하는 주관람로 끝에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전망대가 있다.
□ 경의선 숲길
- 경의선 및 공항철도 역사 구간 700여m 내에 장애인 주차구역이 있다.
- 숲길 근처 동교어린이공원 내에 장애인화장실(미닫이문, 남‧여 구분, 안전바 있음, 내부 회전 가능, 점자블록 없음, 다목적)이 있다. 입구에 1cm가량의 턱이 있다.
- 전반적으로 평탄해 이동이 용이하나, 군데군데 완만한 오르막길(내리막길)이 있거나 철로 및 박석 구간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대중교통 이용 시 기점은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4번 출구 근처에 엘리베이터 있음)이다.
□ 경의선 책거리
- 전반적으로 평탄해 산책이 용이하다. 다만 책방의 경우 부스의 특성상 출입구에 2~3cm가량의 턱이 있어 접근 시 주의가 필요하다. 일부 책방은 내부 폭이 좁다.
- 애경타워 주차장에 장애인 주차구역이 있다. 책거리 내에 있는 장애인화장실은 없지만 기점이 되는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안에 장애인화장실(자동문, 남‧여 구분, 안전바 있음, 내부 회전 가능, 점자블록 있음)이 있다.
- 대중교통 이용 시 기점은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7번 출구 근처에 엘리베이터 있음)이다.
□ KB청춘마루
- 건물 오른쪽에 장애인 주차구역이 있고, 건물 내부에 장애인화장실(미닫이문, 남‧여 구분, 안전바 있음, 내부 회전 가능, 점자블록 있음)과 엘리베이터가 있다. 2층과 3층엔 일반화장실도 있다.
- 건물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루프탑의 일부 시설도 이용이 가능하다. 앉아 쉴 수 있는 의자와 포토존 등이 마련돼 있다.
- 지하 1층에 VR체험실이 있다. 다만 출입구 문턱 고장으로 출입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입장료 : 무료.
* 휴관 : 연중무휴. 단 명절 당일 휴관.
* 운영시간 : 월~토요일 12:00~21:00, 일요일 및 공휴일 12:00~18:00.
* 주차장 : 있음. 장애인 주차구역 있음. 주차료 무료.
* 장애인화장실 : 있음(1층 위치).
* 기타사항 : VR체험 및 가능. 도슨트 투어 진행. 각종 공연 및 강연 열림.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고.
숙박정보
중저가 숙박시설인 라뉘호텔과 Y호텔에 장애인객실이 각 1실씩 있다. 이중 라뉘호텔의 장애인객실이 추천할 만하다. 안전바와 비상벨 등 편의시설을 갖췄고, 장애인 주차구역(1층, 1면)도 있다. 객실은 넓고 환한 편. 다만 객실 입구와 화장실에 1.5cm가량의 턱이 있다. 변기와 샤워기의 거리는 멀고, 세면도구는 비치되어 있지 않아 따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 라뉘호텔 : lanuithotel.modoo.at , 서울시 마포구 서강로 20길 20, 02-711-3339 장애인객실 1실(양실) 보유.
□ Y호텔 : sinchonyhotel.modoo.at , 서울시 마포구 서강로 20길 24, 02-3275-1053, 장애인객실 1실(양실) 보유. 단, 샤워부스와 변기 분리돼 변기 주변 공간 좁음.
□ 신라스테이마포 : shillastay.com/mapo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83, 02-6979-9000,장애인객실 2실(양실) 보유.
식당 정보
서울 마포엔 ‘SNS 맛집’으로 등극한 식당과 카페가 많다. 그 중 휠체어 접근성이 괜찮은 곳은 경성주방(상암점)과 서울미트볼, 감나무집 기사식당 등이다. 상암DMC 주변 직장인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경성주방의 인기 메뉴는 하와이안가스. 바삭한 수제돈가스에 느끼하지 않은 생크림과 신선한 파인애플로 풍미를 더해 독특하다.
서울미트볼은 최근 20대들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망리단길에 있다. 미트볼이 더해진 파스타를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시간이 넉넉하다면 망리단길에 있는 자판기카페에 들러 디저트를 즐기는 것도 좋다. 입구를 분홍색 자판기로 꾸며 SNS에서 화제가 된 곳으로, 보틀에 담긴 부드러운 라떼와 밀크티 등을 맛볼 수 있다.
경의선숲길 근처에 있는 감나무집기사식당은 불황을 모르는 맛집이다. 40년 역사에도 불향 은은하게 나는 ‘돼지불백’의 인기는 여전하다. MBC 무한도전에 나와 화제가 됐던 곳이기도 하다.
□ 경성주방 상암점 : 02-307-8808,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4길 17 사보이시티DMC 지하1층.
* 주요메뉴: 경성돈가스 백반, 하와이안가스 등.
* 영업시간 : 평일 10:30~21:30, 주말 11:00~21:00, 명절 외 연중무휴.
* 접근성 : 주차장 있음. 장애인 주차구역 있음. 엘리베이터 있음. 장애인화장실 없음.
□ 서울미트볼 :02-337-4391,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14길 56
* 주요메뉴: 서울미트볼, 스파이시토마토 파스타 + 미트볼 등.
* 영업시간 : 매일 12:00~21:30(15:00~17:00 브레이크 타임)
* 접근성 : 주차장 없음. 입구에 경사로 있으나 문턱 주변 바닥이 고르지 않아 주의 필요. 내부 좁은 편. 장애인화장실 없음. 다만 식당에서 200여m 정도 거리에 있는 서교동주민센터 내 장애인화장실 이용 가능.
□ 자판기 카페 : 02-325-8185,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13길 79.
* 주요메뉴: 각종 음료와 디저트 등.
* 영업시간 : 매일 10:00~23:00, 연중무휴.
* 접근성 : 주차장 없음. 입구와 출입구에 4cm가량 턱 있음. 장애인 화장실 없음. 다만 카페에서 170여m 정도 거리에 있는 망원1동주민센터 내 장애인화장실과 공영주차장 이용 가능.(* 자판기 카페 앞 한서데이케어센터 옆 직선 사이 길로 직진 60m - 망원1동주민센터)
□ 감나무집 기사식당 : 02-325-8727, 서울시 마포구 연남로 25.
* 주요메뉴: 돼지불백, 생선구이 등.
* 영업시간 : 00:00~24:00, 연중무휴.
* 접근성 : 주차장 있음. 장애인 주차구역 없음. 입구 무단차. 장애인화장실 없음. 다만 식당에서 200여m 정도 거리에 있는 동교어린이공원 내 장애인화장실 이용 가능.
이동 정보 / 대중교통 이용 정보
□ 서울시설공단 장애인콜택시 : calltaxi.sisul.or.kr, 1588-4388.
□ 기아자동차 초록여행 1670-4943, greentrip.kr, 사전예약, 최대 2박3일 이용.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창작된 "이맘때 더 예쁜 마포" 은(는) 공공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 자료의 경우, 피사체에 대한 명예훼손 및 인격권 침해 등 일반 정서에 반하는 용도의 사용 및 기업 CI, BI로의 이용을 금지하며, 상기 지침을 준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자와 제3자간 분쟁에 대해서 한국관광공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한국관광공사의 저작물에 기초 -